수학여행 자료집 만들기 준비과정
1. 수학여행지 4곳 여행 책자 만들기 안내 – 최소 25면
교과진도와 연계해서 수업진행. 수행평가 반영(포트폴리오 20점중 5점) , 4인 1조로 제작- 공통과제 및 개별 과제 부여해서 조별 친구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함. 개별과제는 4곳의 여행지를 나눠서 그 지역 소개 및 관광지 소개 , 지역의 상징성을 이용한 지역 축제, 지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특산물 소개 , 지역의 특성을 살린 상품이나 지역 이미지를 결합한 지역브랜드를 포함하도록 했다.
2. 수학여행에 도움이 되는 각종 자료 제공 :
당곡중학교 여행자료집 및 다도 초등학교 , 2016학년도 3학년이 만든 수학여행 자료집 샘플 , 투어맵스 맵북 (전주), 흥우네집 블로그 내 여행책자 만들기 방에 관련 자료 제공
3. 수학여행 업무분장표 작성 (책자 목록 & 책 쪽수, 담당자 역할분담 등 )
4. 지역별로 개인별 예시 자료표 작성 - 무엇을 찾아야하는지 학생들의 어려움이 있어 표를 만들어 칠판에 안내
5. 수업 진행 : 4~5차시 진행 ( 안내 1시간 & 발표 1시간을 제외하면 2~3차시 수업 ㅠ ) - 5월17일(목)에는 2반 과 6반 보강을 했지만 절대적으로 시간이 부족 ... 거기에 화, 수 단축수업까지 ... 어쩔 수 없이 강행 ...하지만 잘하는 친구들은 시간 내 완성해서 제출하기도 함. 뿌듯~~~ 미안~
6. 출력물은 도서실 사서 샘에게 부탁,
7. 발표 및 평가
– 이틀에 나눠서 실시
5월18일 (금) 1, 5, 6반 (유흥우) / 3반 (장미숙샘)
5월21일 (월) 2, 4, 7, 9반 (유흥우) /8반 (장미숙샘)
- 발표는 교실 내 TV를 활용해서 조별로 발표 , 제한 시간은 5분, 대본 사전 준비해서 발표하도록 함.
- 평가 : 수행평가 계획서에 의거해서 반영 :
8. 수업을 준비하면서 ...
수학여행지와 연계해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시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. 학생들은 여행책자를 처음 제작하는 것이라 매우 낯설고 힘든 여정이었다. 컴퓨터를 활용하여 정보 검색 및 프로그램 작성 능력에 있어서도 학생들 간의 개인 편차가 매우 큰 걸 알았다.
조별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경우, 잘하는 학생들에게 많은 짐을 줄 수 있어 학급에서 잘 하는 친구들을 조장으로 뽑고 , 그 조장이 한명씩 선정하여 최소한의 호흡을 맞추는데도 불구하고 힘들어 보이는 조가 있었다.
결과도 중요하지만 과정을 밟아가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. 늘 여행을 다녀도 어디를 다녀왔는지 기억조차 못하는 학생들도 있다. 그 친구들에게 수학여행 전에 자신들만의 여행책자 자료집 제작을 통해 중3의 좋은 추억들을 담고자하였다.
수행평가 점수도 최소화하여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고 하였다. 하지만 평가와 상관없이 학생들에게 어려운 과제를 주어 미안함감이 든다. 한편으로는 한 걸음 더 성장하고 서로의 생각을 나눌 좋은 기회였다고 본다.
시간 부족으로 새벽까지 작업을 해서 책자를 완성한 학생들도 여러 명이 있다. 2016년 3학년처럼 통합수업을 하거나 교과 시수를 좀 더 확보해서 준비를 했으면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고 좀 더 알찬 여행 책자를 만들 수 있지 않았을까? 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. 여러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책자를 완성하는데 열정을 보여준 모든 학생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.
'사회 > 여행책자만들기(한울2018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여행자료집 제출일 (0) | 2018.05.14 |
---|---|
여행책자 자료집 표지 (2017한울중 작품) (0) | 2018.05.11 |
지역별 조사 기록지 (0) | 2018.05.11 |
수학여행 자료집 발표 예시 (다운 받아서 창의적으로 만들것) (0) | 2018.05.10 |
한울중 3학년 수학여행 자료 (2018) (0) | 2018.05.09 |